부의금(2)
-
조문예절 조문 시 유의사항 알아보자.
지성상조가 드립니다.조문과 문상의 차이. 조문 : 상주를 아는 이가 상주를 위로하러 가는 경우를 말함.문상 : 생전 고인을 아는 사람이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러 가는 경우를 말함. 조문을 가는 시간 보통은 부고 연락을 받은 뒤 3시간 ~ 5시간 이후 조문을 가는 것이 좋다.(이유 : 음식이랑 제단을 차려지는데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마지막 3일째 되는 날에는 조문하지 않습니다.(3일째는 아침 일찍 장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문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오후 발인이 있기 때문에간혹 조문을 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가까운 친인척의 경우 최대한 빨리 가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의 도음을 받을수 있고, 상주들이 어리기 때문에 예산과 절차등 의논할수 있습니다.) 너무 늦은 시간에..
2024.12.25 -
부의봉투 작성방법 알아보자. (아름다운 이별 이야기)
부의봉투 쓰는 법 (문구 종류) 조의금 봉투에는 '부의 (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 그 밖에 '근조 (謹弔)', '조의 (弔儀)', '전의, 향촉대 라고 쓰기도 합니다. · 조의금 봉투 안에는 단자 (單子)를 씁니다. · 단자란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를 말합니다. ·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씁니다. · 영수증을 쓰듯이 '일금 ○○원정'으로 쓰지 않도록 합니다 ·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O필 "백지 OO권"으로 기재합니다. ·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됩니다. ·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 '○○댁 (宅) 호상소 입납 OO상가 호상소라고 쓰기도 합니다. · '귀중'과 같이 쓰기도 한다. ..
2023.07.10